본문 바로가기
건강이 먼저

[신경해부생리학] 소뇌의 기능 및 특징 그리고 재활치료

by Good4U 2022. 12. 8.
728x90
소뇌 질환에 대한 이해와 재활치료

소뇌의 기능

 

소뇌는 여러 가지 기운에 의해서 분류된다, 종족발생학적인 분류는 원시소뇌, 옛소뇌 및 새소뇌로 나눈다.

 

신경학적 연결에 따라 전정소뇌, 척수소뇌 및 교뇌소뇌로 나눈다. 전정소뇌는 타래결절엽과 일치하며 수뇌에 있는 전정신경핵으로부터 구심섬유들을 받아 정보처리를 하여 다시 전정신경핵으로 원심섬유를 낸다.

 

전정소뇌는 내측활동계의 몸과 근의쪽으로 가는 운동신경원으로 연결되며 몸통과 근위쪽 근육을 조절하고 전정반사를 담당한다

 

척수소뇌는 내측활동계의 전정핵, 그물구성체, 운동피질로 연결되며 몸통과 근위쪽 부위 지속적인 움직임을 실행한다. 또한 외측활동계의 적색핵과 운동피질의 원위부와도 연결되어 사지 원위쪽 부위의 지속적인 움직임을 실행한다.

 

대뇌소뇌는 통합영역의 적색핵과 전운동피질에 연결되어 움직임의 시작과 계획 및 타이밍을 담당한다.

 

소뇌장애의 특징 및 재활치료

 

소뇌 기능 장애 특징

 

소뇌 정중면 부분에서의 장애는 사지의 조화로운 움직임이 보존되어 있음에도 지지대를 잡고 있지 않는 한 혼자 앉거나 서는 것이 불가능한 것과 같은 자세조절 장애를 보인다.

 

한쪽 소뇌손상은 손상 반대쪽의 신체부위에 증상과 징후들이 나타나는 대뇌피질, 속섬유막 및 기저핵 같은 대뇌손상과 달리 한쪽 소뇌손상은 한쪽 소뇌의 병변 때의 증상은 반드시 같은 쪽의 팔다리에 국한 되어서 나타난다.

 

그 이유는 소뇌로 들어오는 모든 신경로는 같은쪽 양상을 보이거나 아래쪽에서 신경로가 교차하더라도 소뇌로 들어갈 때에는 다시 한번 교차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뇌는 풍부한 감각신경로들을 받고 내림 운동신경로로 보내지만 감각장애나 근육마비는 초래하지 않는다. 또 다른 특징은 수의적인 움직임을 할 때에 조화로운 움직임(Coordination)의 장애를 보이나 기저핵 손상에는 보이는 불필요한 불수의운동(involuntary movement)은 나타나지 않는다.

 

한쪽 소뇌반구의 손상은 같은쪽 상지의 의도적 떨림(intention tremor) 같은 조화롭지 못한 움직임을 보이고 하지에서는 근육약화나 감각장애없이 불안정한 걸음걸이를 보인다.

 

의도적 떨림이란 휴시할 때에는 떨림이 발생되지 않으나 물건을 가리키거나 잡는 것과 같은 의도적인 움직임을 할려고 할 때 떨림이 발생된다. 특히 이 떨림은 위소되다리나 치아핵의 병변에서도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목표물까지 거리를 정확히 재지 못해 목표물에 도달하지 못하고 빗나가게 되는 겨냥이상(dysmetria), 주동근과 길항근이 빠른 속도로 반복적인 작용을 하는데 장애가 생기는 연속반복운동 불능증(adiadochokinesia)이 생길 수도 있다. 연속반복운동 불능증의 예로는 아래팔의 회외와 회내운동을 연속적으로 반복해 시키면 행동이 느리고 서투른 듯이 보이며 불규칙해진다.

 

또한 정확한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계되는 근육상호간의 협조적인 조화운동장애 때문에 각 근육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복잡한 조화운동을 하기 어려워지는 근육간 협조불능(asynergy)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근육의 긴장도를 급격히 바꾸지 못해서 생기는데 환자의  팔을 잡아 당기게 하면서 손을 잡고 있다가 관찰자가 손을 놓으면 팔을 제동하지 못하는 반발현상(rebound phenomenon)을 보이기도 한다.

 

알콜장애, 갑상선기능저하증, 신천성 소뇌변성, 다발성경화증 같은 소뇌 양쪽부분의 손상일때에는 말이 느려지거나 어눌해지는 언어장애(dysarthria), 양쪽 상지의 조화롭지 않은 움직임, 발을 넓게 벌리고 흔들거리면서 불안정하게 걷는 보행 실조증(gait ataxia)을 보인다.

또한 소뇌손상은 조화로운 눈 움직임의 장애와 병변이 있는 쪽으로 응시하였을 때 안구가 큰진폭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안구진탕증(nystagmus)을 보인다. 이 증상은 다발성경화증 환자에서는 매우 공통적인 특징이다.

 

 

소뇌환자의 재활치료

소뇌환자들의 특징은 다양한데 그 특징들에 대해 적합한 임상 치료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드립니다.

 

불수의운동(involuntary movement), 의도적 떨림(intention tremor), 겨냥이상(dysmetria)

이 3가지 특징은 타겟으로 손을 뻣을때 떨림으로 인하여 정확한 타겟을 잡지 못하고 빗나갑니다.. 이럴때는 가까운 타겟부터 치료사의 보조하에 정확하게 터치하도록하고 익숙해지면 거리와 높이 등 task의 변화를 시켜 재활을 시행하면 됩니다.

 

연속반복운동 불능증(adiadochokinesia), 협조불능(asynergy), 반발현상(rebound phenomenon)

위 3가지는 타겟을 향해서 손이 움직일때 연속적으로 하기 힘들고 움직임을 조절하기 힘든 현상을 말합니다.

먼저 근력증진을 위한 치료를 시행하고 근력을 향상시키면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반복적으로 Task를 수행하는 재활치료를 시행하면 도움이 됩니다.

 

언어장애(dysarthria)

언어치료를 통해 발음을 연습하고 혀과 안면근육에 대한 이해와 재활치료를 시행하면 호전이 됩니다.

 

실조증(gait ataxia)

상지와 마찬가지로 하지의 불수의적인 움직임을 내가 정확하게 발을 앞으로 나가는 동작을 내 뜻대로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때도 하지의 근력증진 운동 및 일정한 보폭을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재활치료가 필요합니다.

 

안구진탕증(nystagmus)

이 증상은 눈꺼플을 깜빡이지 못하고 눈을 크게 뜬 상태에서 물건을 응시하는데, 환자는 복시처럼 사물이 보인다고 합니다.

치료는 자주 눈을 깜빡이도록 하고 타겟을 눈으로 응시하며 고개를 움직임거나 하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간단하지만 소뇌의 기능과 문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재활치료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소뇌환자분이나 가족분들 또는 치료사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댓글